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운동

겨울철 건강 관리

by samdaasoo1817 2025. 1. 20.
반응형

winter

 

겨울철 건강 관리

겨울에는 추운 날씨로 평소보다 면역력이 떨어집니다. 

감기 같은 질병에도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렇다면 겨울철에 건강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내 적정 온도 유지하기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이가 클 때 우리 몸은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급격한 온도 차이보다는 서서히 우리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에너지 비용 절감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실내 적정온도를 18~20도로 권장하고 있지만

몸이나 컨디션이 안 좋을 경우에는 방을 따뜻하게 해줘야 하므로

각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실내 적정 습도 유지하기

겨울에는 특히 실내가 건조하고 난방을 키면 더 심해집니다.

건조하면 건조할수록 코와 입이 건조해져

우리 호흡기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되고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게 됩니다.

이럴 때는 젖은 수건을 실내에 배치하거나 가습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도 환기하기

겨울에는 춥기 때문에 창문을 잘 안 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실내 공기가 탁해지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 각종 병균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공기 순환이 잘되어

환기를 조금만 해도 여름보다 환기가 잘됩니다.

한파가 아닌 경우에는 겨울에도 환기를 자주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외 활동 주의사항

외출 시 복장은 가벼운 옷을 여러 겹 겹쳐 입는 것이 좋습니다.

장소와 온도에 맞춰 옷을 입고 벗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운동하는 경우 땀을 흘릴 때 땀이 마르면서 열을 빼앗아 가고

이는 체온을 낮추기 때문에 땀 배출이 잘되는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겨울철에는 몸이 경직되기 쉽기 때문에

운동 전에 꼭 스트레칭과 같은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날씨에 바깥에 오래 머무르거나 한파 예보가 있을 때는

모자, 마스크, 목도리, 장갑 등 방한용품에 더욱 신경을 쓰는 것이

저체온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편, 겨울에는 눈이 자주 옵니다.

눈 오는 날에는 빙판길이 되기 쉽고 블랙 아이스도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미끄러짐에 유의하고 천천히 주의해서 걷는 것이 좋습니다.

계단을 걷거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 잡을 손잡이가 있다면 

손잡이를 꼭 잡고 이동해주세요.

겨울철 질병

겨울에는 독감에 주의해야 합니다.

독감은 겨울에 유행하는 겨울철 대표적인 감염병으로

예방주사를 미리 맞거나 개인위생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는 또한 노로바이러스에 유의해야 합니다.

노로바이러스도 겨울에 발생하기 쉽고 전염성이 강합니다.

걸리게 되면 구토와 설사를 하게 되고 탈수되기 쉽습니다.

식재료 관리를 잘하고 조리 전후

안 먹는 식재료는 빠르게 냉장 보관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 습관

독감과 같은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 외출, 귀가 후 손을 꼭 씻어주세요.

또한 충분한 물을 마시고 채소, 과일과 같은 영양가 있는 식사를 해주세요.

겨울에 자주 먹는 귤도 비타민C가 많아 면역력을 높이는 데 좋습니다.

또한 겨울에는 추워서 운동하기 쉽지 않지만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스트레칭과 가벼운 운동을 해서 면역력을 강화하면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겨울에는 눈이 오기 쉽고 한파로 인한 기온 변화도 크기 때문에

일기예보를 자주 확인하시는 것도 권장합니다.

 

반응형